Billy’s Story

빌리의 이야기

(Image Description: Photo Portrait of Billy, he’s smiling and sitting at a waist high desk in a library; his palms are laid comfortably on the table, wrapped around his left wrist are two Mala bracelets, and between his hands is a copy of Paolo Coel…

(Image Description: Photo Portrait of Billy, he’s smiling and sitting at a waist high desk in a library; his palms are laid comfortably on the table, wrapped around his left wrist are two Mala bracelets, and between his hands is a copy of Paolo Coelho’s ‘The Alchemist’.)

(Content Warning: mentions of violence)

(이하 이야기에는 군부대의 폭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My name is Billy.

제 이름은 빌리입니다.

I really didn't know how I came over to the US; we escaped from the hardship of Cambodia when we were in the Khmer Rouge era (Guerilla war and the dictatorship). I was very young at the time. So I didn't really know what was going on.

미국에 어떻게 하다 보니 오게 되었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캄보디아의 크메르루주 시대 (게릴라 전쟁과 독재를 행한) 통치를 빠져나왔거든요. 전 아주 어렸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According to my mom, one night, a couple of soldiers came into our house. They accused [my dad] of speaking Chinese and you know, plotting against the Khmer rouge region. So they took the rifle, beat them with the rifle, beat his head, and started beating him in front of our family and just dragged him away...and we never saw him again. 

어머니가 말씀해주시길, 어느 날 밤, 우리 집으로 군인 몇 명이 찾아왔었답니다. [저희 아버지가] 중국어를 했고, 크메르루주 정권에 반하는 사람이라고 몰아갔대요. 아버지가 제 눈앞에서 개머리판으로 여러 차례 머리를 구타당하고 끌려가는 걸 지켜봤었습니다. 그날 뒤로 아버지를 다시 본적은 없구요.

We came to America to escape the hardship and my mom wanted to give us the opportunity to live a better life. 

이러한 상황에서 도피하기 위해 어머니는 고난만 가득했던 캄보디아에서의 삶을 청산하고 미국으로 저희를 데리고 오셨습니다.

I was like five years old. We came to the US as refugees - we came here not knowing anything at all about American culture. According to my mom, when we got to the refugee camp. I guess she was looking for her last surviving relatives. So, I guess at the refugee camp she put up posters and was looking for her surviving siblings. Anyway, we ended up getting sponsored to the United States and we landed in Atlanta, Georgia with a couple of other refugee families from Cambodia. And then a year and a half later, my mom found one of her friends living in California and I think my uncle who is a little brother of her[s] was also in California, so that's how we came to California.

저는 약 5살이었고, 우리 가족은 미국에 난민 신분으로 건너왔습니다. 미국 문화를 하나도 모른 체였죠. 어머니의 말씀에 따르면, 저희가 난민 캠프에 도착을 했을때, 어머니가 다른 형제/자매분들을 찾기 위해서 난민 캠프 이곳저곳에 사람 찾는다는 포스터를 붙여놓으셨답니다. 머지않아, 저희는 미국으로 [망명 신청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다른 몇몇 캄보디아 사람들과 함께, 애틀랜타 조지아에 도착했습니다. 약 6개월 뒤, 어머니가 친척과 친구 몇 분이 캘리포니아에 살고 계신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저희도 캘리포니아로 이사를 오게 되었습니다.

I remember the earliest memory I had was being and feeling scared. I think the first day I went to school in Georgia, I remember I was just crying. We moved around a lot. We moved from Georgia to San Diego, California and then stayed there for like another year or so, then we moved to Monterey Park, California. I also went to several high schools. Also, I've got to mention my mom met my stepdad in Atlanta, Georgia. My younger brother was born in San Diego. So we grew up like any other immigrant family. We were trying to juggle multiple language learning. I was learning English and Mandarin to speak to my stepdad and then at home. And then I spoke another language my mom used. I was struggling to learn new cultures and languages, so I was always a shy and timid kid. I looked up to my older brother and followed him around. but he ran away when I was at the age of 12 years old. After he ran away from home, he joined gangs and I found myself pretty alone also and lost. Because we didn't really have any kind of communication. I felt insecure a lot. I felt lost a lot of times when I went to high school. Unfortunately, I made friends who were the ones that didn't want to go to school and skip classes. Also, we started smoking. Those are the crowds that I felt like I was accepted. They embraced me and so I felt like I belonged. Eventually, I got involved with gangs during high school. At age 19, I committed a crime and I was sentenced to life in prison. I spent 21 years in prison. According to immigration law, if you've been convicted of a felony, you're going to lose your status and be subject for removal back to the country of your citizenship. 

제가 어렴풋이나마 기억하는 그 당시는, 항상 두려움에 젖어 있었습니다. 조지아에서 다닐 학교로 등교한 첫날, 계속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어릴 적엔 이사를 정말 많이 다녔습니다. 조지아에서 샌디에고로 이사를 하였고, 한 1년 정도 뒤, 캘리포니아 몬트레이 파크로 또 이사를 하였습니다. 그래서 고등학교도 여러 군데를 전학 다녔었습니다. 우리 가족을 잠시 여기서 소개하자면, 어머니께선 새아버지를 애틀란타에서 만나셨고, 제 남동생은 샌디에이고에서 태어났습니다. 이렇게 보시다시피, 미국 전역에서 삶을 보낸 어느 다른 이민자 가정과 다를 바가 없죠. 다중 언어 가정의 삶을 지내며, 새아버지와 얘기할 때는 영어와 중국어 (만다린)을, 어머니랑은 또 다른 언어로 대화를 하며, 저는 점점 위축되었던 것 같습니다.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고 적응해 나가면서, 말수도 없고 내성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면서, 큰형을 줄곧 따르곤 했습니다. 그러나 형은 제가 12살 때 가출을 하고 말았죠. 형은 가출해서 갱단에 들어가 생활을 하였고, 제 하루하루는 혼란의 연속이었습니다. 소통할 창구가 없었고, 혼자 불안한 나날을 보냈습니다. 고등학교로 진학한 뒤에, 방황은 계속되었던 것 같습니다. 친구들 또한 학교를 주로 빠지는 아이들과 어울리며, 담배도 피우게 되었습니다. 그 아이들은 저를 받아준다고 생각을 했고, 저도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갱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19살이 되던 해에, 범죄에 연루되어 무기징역 선고를 받고, 21년을 수감된 채로 보냈습니다. 미국 이민법에 따르면 중죄 (felony)를 저지르면 미국 내에서 체류 신분이 박탈되고 본국으로 송환되게 되어 있습니다.

And upon release, I was handed over to ICE. Usually for other people, they can go straight home. But for me, I went straight to the ICE detention facility, where I spent four months. I spent four months in Northern California, Yuba County. I thought I had no hope at all of winning my case to stay here in the U.S. So the logical thing at the time was just to sign my waiver to leave this country. Because they said that I really have no chance of winning my immigration case, because of how the law is and how I have been convicted. According to the law, I am going to be deported. But fortunately, Cambodian didn't acknowledge that my citizenship belonged to their citizenship. So they didn't accept me. So they released me after four months on my first detention. When I got released, I was under an order of supervision. Meaning I had to report every month to ICE. I had to apply for a work permit and to get permission to work. Not too long after I got released, I was re-detained by ICE again. That was the time when the Trump administration was going really hard on immigration. So the fact that you know, they label me as a criminal, even though I already served my time.

수감생활이 끝나자마자, 이민세관단속국 (ICE)으로 넘겨졌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본국으로 바로 송환되지만, 저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수감시설에 4달 동안 보내졌었습니다. 캘리포니아에 유바 카운티에서 수감되어있는 동안 제가 미국에 계속 체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남아있지 않는다고 생각했고, 강제송환될 날만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이민세관단속국에선 제가 체포된 과정과 미국의 이민법을 생각했을때 강제추방만이 답이라고 말해줬었죠. 하지만, 캄보디아 정부가 제가 캄보디아 시민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고 인정해 주지 않았고, 이 때문에 강제송환명령을 이행하지 않았습니다. 이민세관단속국 수감 시설에서 4개월 뒤에야 풀려났고, 그 뒤에도 보호 감찰 명령을 받았습니다. 매달 이민세관단속국에 보고를 해야 하는 것이었죠. 일하기 위해 취업 허가를 신청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이민세관단속국이 다시 절 수감시켰습니다. 트럼프 정권이 들어서면서 반이민적 정책으로 펼쳤고, 이미 수감생활을 다 마친 저도 다시 범죄자로 낙인이 찍히게 되었습니다.

When I came out I did everything that I was supposed to do and joined a nonprofit organization. I was just trying to repair relationships right with my families from the years that I was missing when I was incarcerated, but when the Trump administration came in, all they cared about was that I committed a crime in the past, therefore I don't belong in the United States. And so yeah...I was detained, I was shipped around to different states for interviews for and for them to deport us. I remember just waking up, they'll wake us up in the morning around 3 AM, and get us on a plane and while we were on a plane, we'll be shackled hand to waist and ankles. A lot of times we were on a plane for at least five hours. One time, we were on a plane for like 13 hours. I was transferring from state to state so you know, I remember at the time I just didn't feel like I was treating as a human at all. I remember thinking I was doing this the whole time waiting for enough processing and getting packed in a waiting room just easily over at least 30 of us in the holding tanks. Just waiting for hours every time until we arrive in a different facility.  I just remember thinking like we were treated worse than animals..Just being disregarded. I have been detained for six months for the second time. So I was in the detention center for a total of 10 months.

수감생활을 다 끝마친 후, 비영리 단체에 들어갔습니다. 투옥된 시간 동안 잊은 가족들과 다른 인간관계를 복구하기 위해 노력 중이었지만 트럼프 정권은 제가 저지를 과거의 과오로 저를 재단하고 미국에 남아선 안 되는 사람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재수감이 된 거였겠죠. 조사를 받고 추방을 할 거라는 명목으로 이 주에서 저 주로 항상 옮겨 다녔었습니다. 새벽 세 시인가 갑자기 깨워서 비행기에 태운 후, 이동을 시키고, 비행기에 탔을 때는 손목, 허리, 발목을 포박당한 상태였구요. 최소 5시간 정도 비행기를 탄 채로 이동한 적도 있고, 최대 13시간까지 이러한 상태로 여기저기 끌려다녔습니다. 전혀 사람대접을 받지 못한 채로요. 한방에 약 30명이나 감금된 임시수용소에 갇혔을 때는 도대체 이게 뭐 하는 짓인가, 왜 우리는 인간이지만 동물보다 못한 대접을 받나 생각을 했었습니다. 항상 무시당했었고, 두 번째 수감생활이 6개월 정도 됐을 때 즈음에서야 풀려났습니다. 총 10개월이나 수감시설에서 지냈더군요.

The second time when I got out on bail bond, I was on an ankle monitor where they can keep track of my location via GPS, where I'm at all the time, so they can trace me 24/7. And I started to get more involved with advocacy for immigration, especially those who are formerly incarcerated people like me - to help them to start a new life and redeem what they have lost, because formally incarcerated people didn't have that opportunity, especially if you are an undocumented person; it is much harder and there’s no support system. We were facing a lot of obstacles and barriers like getting work permits, and it is a very hard process to get one. I had to wait like six months to get my ID. A lot of the places needed documents and without the work permit, you can't really work. Also we have to check in with ICE agents periodically because of our supervision order. We also have to check in with the parole officer because of the past criminal record and the prison times. On top of that I can be re-detained anytime they want to put me in again without any notice. That is how I got re-detained during my check in with an ICE agent. 

보석으로 두 번째 풀려났을 때, 제 행보를 주시하기 위해 붙여진 전자 발찌를 차고 다녀야 했습니다. 24시간, 1주일 내내 GPS로 제 위치를 알 수 있었죠. 이 당시 저는 이민 옹호 단체에서 일을 시작하고 있었고, 저와 같이 수감 이력이 있는 사람들을 도와주고 싶다는 생각뿐이었습니다. 서류미비자로서 수감 이력이 있다는 건 정말 고달프고 어려운 삶이라는 것을 알기에 그 들이 새 삶을 차리고 잃어버린 과거를 채우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도와주고 싶었습니다. 저희 같은 사람들은 취업 허가를 준비하는 것 조차 힘이 듭니다. 일례로, 제가 신분증을 받기까지 6개월이나 걸렸고, 대부분의 일자리는 취업 허가가 나지 않으면 채용을 하지 않습니다. 보호 감찰 명령 때문에 항상 이민세관단속국에 보고해야 하고, 추가로 가석방 감찰관에게도 보고해야 합니다. 제 수감 이력 때문이죠. 여기에 추가로 사전 통지 없이 언제든지 재수감이 가능했고, 불안한 예감은 현실로 찾아와 이민세관단속국에 보고하던 중 다시 수감이 되었습니다.

Eventually, I was pardoned by the Governor of California. I was very fortunate, I had a lot of community support. After I came out and I just set my mind on just doing what I was supposed to do to care for my family, finding a job, and being involved with the community. So many community rallies behind me, I had to solicit legislatures, asking politicians to write letters on my behalf, and above all, the nonprofit organizations who supported me along the way made it possible. When I applied for the pardon I didn’t really expect to get it because it was such a short notice and I felt like I didn;t do enough to get one for myself and for the communities. However, on Christmas eve on the 24th, I got pardoned by Governor Brown. 

후에,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사면을 받아 풀려나게 되었습니다. 운이 아주 좋았던 덕택이지만, 공동체 사회의 도움도 많이 받았습니다. 이렇게 세 번째로 풀려나고 나서는 더욱 확고하게 제가 해야 할 일을 찾아 나갔죠. 가족들을 챙기고, 취직하고, 공동체 사회를 위해서 일하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를 챙겨주고 많은 관심과 노력을 보내준 분들을 위해 일하고 싶었습니다. 정말 많은 분이 법안을 지지하고, 정치인들과 만나 석방 편지를 같이 써 달라고 부탁하는 등, 여러 비영리 단체의 멤버들이 큰 힘을 주었습니다. 사면 신청을 했을 때, 워낙 늦게 신청을 했고 저보다 더 고생을 하는 사람이 있을 거라 생각을 해서 풀려날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크리스마스 이브에 브라운 주지사의 사면을 받게 되었습니다. 

Now, I'm living my life: working full time as an union electrician. I'm able to plan my future better. Fortunately I'm able to care for my mother and I'm still involved with some nonprofit organizations. I contribute whatever I can to my community. Most important of all, I live my life like everybody else who doesn't have to worry about getting deported. Finally, I feel like I have the sense of stability because it was rough having that uncertainty when I was still facing deportation. I didn’t know what to do for my future plan because I wasn’t sure if I would be in the U.S or Cambodia. I have a peace of mind now.

인제야 제 삶을 이어 갈 수 있습니다. 현재는 풀타임 전기 수리공으로 일하고 있고, 덕분에 미래를 계획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직도 비영리 단체와의 관계도 이어나가고 있고, 어머니를 보살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가 공동체 사회를 위해 할 수 있는 노력은 크고 작은 것 할 거 없이 항상 팔 걷고 나설 수 있습니다. 이제서야 남들처럼 강제추방 당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떠나 삶을 이어 갈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제 미래가 미국에 있는지 캄보디아에 있는지 모르는 불안정함을 떠나, 마음에 조금 평화가 찾아오는 것 같습니다.

I still strive to become a citizen of the United States, so I can travel more at ease. I would love to visit my country of birth one day. But as of right now, I heard that even with the green card or the visa I am not as safe to travel to come back because the U.S government can easily take it away. So having citizenship means a lot to me, because I can travel without being worried about being denied reentry. Citizenship is a peace of mind. It’s not just a piece of paper.

아직도 미국에서 시민권을 취득하기 위해서 노력중입니다. 좀 더 편하게 이곳저곳으로 이동하고 여행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캄보디아에도 언젠가 방문해서 제가 태어난 곳이 어떤 곳인지 알아보고 싶습니다. 그러나 지금, 제가 영주권이나 비자가 있더라도, 미국으로의 재입국은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미국 정부가 언제나 제 신분을 박탈 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시민권을 취득하는 것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재입국 거부를 더는 걱정하지 않아도 되니까요. 저에게 시민권은 그냥 종잇조각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마음에 안정을 주는 장치이지요.

[So we] definitely need the change in immigration law. Especially closing down all detention centers and citizenship for all right?! That is human rights. We need to humanize people. There's no such thing as illegal immigrants. Everyone is just moving through space and time. I wish we can unify our government because this county has been separated by different ideas and ideologies. We come together as one human race.

[우리가] 이민법 개혁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모든 수감 시설을 폐쇄하고 모두에게 시민권을 받을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은 인권적인 이유가 가장 큽니다. 인간을 인간답게 대하고, 개개인이 불법 체류자가 아닌 이주의 자유를 부여받은 인간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정부가 다른 이념과 사상으로 갈라져 있어도, 범인류적인 대화를 이어나가야 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I'm still who I am. I mean, I still continue to do what I do. I just want to continue to live a productive life. Right. And to be a community contributor. I always want to help other people who are facing obstacles, struggling and who is going through what I went through before, like my mom...

저는 계속해서 제 삶을 살아나갈 것 입니다. 생산적인 삶을 살아야지요. 그렇잖아요. 사회에 기부도 하고, 저와 저희 어머니처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도우며 살아가야 합니다.

I think a lot of stuff I'm doing now I know I can’t still make up for 21 years of lost time in prison and 10 months of detention. But I've tried to make up for the time that I didn't spend with her during my incarcerations. And so I want her to have a happy life for the rest of her life. Everything I do, I want to make sure my mom's well taken care of. My mom had a hard life. I mean, she lost her husband to violence, lost her parents to violence, and had to live through me being incarcerated for 21 years, and seeing my older brother being drug addicted. The torture that she had to go through is unimaginable. She is influential in what I do and what I continue to do to make her proud.

제가 부단한 노력을 한다고 해서 21년의 투옥 생활과 10개월의 수감 생활을 한 번에 갚을 수는 없습니다. 어머니께 못다한 효도를 이어나가고 어머니가 행복하신 삶을 이어나가시는 것이 제 노력의 시작입니다. 남편과 부모님이 정부의 폭력에 의해 희생되시고 작은아들의 21년간의 투옥 생활을 버텨내시며 큰아들이 약물 중독에 의해 힘겨워하는 것을 보며 굳건하게 삶을 이어나가신 어머니를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싶습니다. 어머니가 이겨나가셨어야 하는 고문과도 같은 매일을 상상할 수 조차 없습니다. 제가 어머니의 아들임을 자랑스럽게 여기시기 위해, 저는 하루하루를 더 긍정적으로 살아나가고 있습니다.

[To the organizers,] I want to thank you all for doing the hard work on the ground. Thank you for being a warrior for our people. And fighting for injustice. I really appreciate what you all are doing. And thank you for sharing my story. I really hope it’s helpful.

[캠페인 활동가들에게] 여러분들의 노고에 너무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우리와 같은 사람들을 위해, 그리고 사회적 불공평함에 맞서 싸워가는 여러분의 강인함에 너무 감사합니다. 제 이야기를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주셔서 너무 감사하고, 제 이야기를 읽은 많은 사람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Help fight for people like Billy! Join our campaign! In addition to sharing stories, we are calling Congress EVERY DAY and hosting a daily vigil in front of Congress for the first 100 days of Biden’s presidency to demand citizenship for all undocumented immigr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