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s Story
찬의 이야기

(Image description: Photo of one silver ring that says “LOVE,” next to one black ring.)

(Image description: Photo of one silver ring that says “LOVE,” next to one black ring.)

When I was a teenager and I thought there was a problem with me, I absolutely refused to tell other people about it sometimes because of pride, sometimes because of shame. I never really opened up to my friends, my parents or teachers about my depression until after high school and a few years into community college. Success, particularly academic success, defined a lot of my self-worth when I was that age. Some kids would try to be on par with their parents and teachers’ expectations; others would strive to go even beyond those expectations. But, I couldn’t even get near where I wanted to be. And after a certain point, I didn’t even know where I wanted to be. I wasn’t motivated because I couldn’t see where I was going. And with no citizenship, another issue I had was that, legally, I didn’t understand my boundaries either.

10대 시절엔 저에게 무슨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자존심때문에 또 때로는 너무 부끄러워서 다른 사람들한테 이야기 하지 않았습니다. 대학생이 될 때까지 친구들, 부모님, 그리고 선생님에게도 제 우울증에 대해 얘기 해 본적이 없었어요. 성공, 특히 학업적 성공은 당시에 제 자존감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어요. 어떤 아이들은 부모님과 선생님의 기대치에 부응하고자 노력했고 다른 아이들은 그 기대치를 넘어서고자 노력하기도 했지요. 하지만, 저는 제가 목표로 하는 곳 근처도 갈수 없었어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는 제가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도 확실치 않았고, 이렇게 목표를 잃고나니 제 자신에 대한 의욕도 많이 없어졌습니다. 그리고 제 신분문제가 야기한 큰 문제중 하나는 제가 할수 있는것과 할수 없는 것에 대한 것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했었다는 점이 었어요.

When I felt stuck and tried to look for alternatives, such as grants, scholarships or loans, I’d be hit by the same wall because I am not a citizen. I started internalizing these failures as my own, not the failures of a legal system. If I were to meet a wall, my depression would kind of coil around it, because it was kind of malleable and could weave into different contexts. It got to a point where I attempted suicide about seven times, not just in high school, but in total. I still remember one of those times, I was standing above a bridge. My feet were on the lower part of the railing and I was looking down at the highway, thinking about how fast those cars were going and then myself, kind of just standing in place.

경제적으로 너무 어려워서 장학금이나 학자금을 알아볼 때면, 서류미비자로서 부딪히는 벽을 계속 마주하게 됐습니다. 저는 이런 실패들을 이민시스템, 법률시스템의 구조적인 실패가 아닌 제 자신의 잘못으로 내면화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이런 벽을 마주하는 순간순간 마다 제 우울증이 저를 옭아매었고, 이는 결국 다른 문제까지 야기 시키는 악순환이 계속되었습니다. 상황은 점점 악화되어, 총 일곱번의 자살 시도를 했었어요. 저는 아직도 제가 자살하려고 고가도로위에 서있었던 그날을 가끔 생각해봅니다. 저는 다리위의 레일에 서서 고속도로를 빠르게 달리는 차들을 바라보며 여러 생각에 잠겼었습니다.

I was wondering what’s left for me to do. What other options do I have before I fall one last time? In hindsight, it’s very frightening to know that I was so desensitized to my own life’s worth that the only thing on my mind was to jump. I say “in hindsight,” but I still live with depression. But, now, my idea of living with depression is, kind of, coming to terms with it. I can’t think of a phrase that better encompasses all the different points in my head. They’re not something I expect to “beat,” in the conventional sense. Instead, I’ve been able to live with myself a little better, understand myself more. 

내가 이세상에서 할수있는일은 과연 무엇이 있을까? 마지막으로 뛰어내리기전에 내가 할수있는 것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 제 삶의 가치에 너무 둔감해져서 오직 뛰어내릴 생각만 할수 있었던 그때를 되돌아보면 너무 무섭기도 합니다. 물론 “되돌아보면”이라고 말하지만, 현실은 아직 우울증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중 입니다. 하지만 이제 조금이나마 우울증이라는 질병을 이해하고 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제 머리속에 있는 여러가지 것들을 말로 표현하려니 좋은 단어가 생각나지는 않지만 우울증을 더이상 “이겨내야” 하는것으로 생각하기보단 함께 살아가면서 제자신을 좀 더 잘 이해하고 조금 더 건강한 삶을 살기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When I first started learning about immigration justice, I went to DC and that was when I saw, for the first time, a big rally. I met many Dreamers, a lot of other people who are really great people. We shared a lot with each other; we reflected together. It wasn’t so much the people had a problem-- but it was clear there was, simply put, different levels of success. These narratives with happy endings--whether it’s the Dreamer narrative or “depression-is-just-a-phase,”-- I found them soul-crushing, not because anyone was out to hurt me, but because these seemingly harmless narratives influenced how we interact with each other, how we express ourselves. They reminded me that I was different or weak. 

제가 이민자권리보호에 관한 일을 처음 배웠을때 워싱턴 DC에 가게 되었고 그때 태어나서 처음 큰 랠리에 참여했습니다. 저는 저와같은 상황에 있던 다른 “드리머”들을 만났고 대부분이 좋은 사람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들과 함께 여러가지 이야기도 나누고 또 함께 저희 자신을 되돌아보기도 했습니다. 그때 일을 되돌아보면 사실 그 분들에게 어떤 문제가 있었기 보다는 성공의 기준이 달랐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울증은 사람이 거치는 한 단계일 뿐이다” 라던가 “드리머”로 대변되는 서류미비자이지만 성공적인 삶을 사는 이들을 주목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아무런 해가 없을것만 같고 긍정적이기만한, 묘사들은 저를 정말 힘들게 했습니다. 이렇게 성공과 창창한 앞날만을 조명해주는 시각은, 우리가 서로를 대하는 방법이라던가 자기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에 큰 영향을 끼치기 마련이지요. 굳이 다른 “드리머”들이 저를 괴롭히고 해를 가해서 그렇다기 보다, 제가 일반적인 사람들과 다르며 그들보다 약하다는 점을 항상 상기시켜줬어요.

A lot of the time when people are shown in a very positive light, it's often so blinding that it scares those who are in a darker place. I realized that these people around me at that time were very motivated, very successful, very driven. They had a purpose. They had a plan. They had a future. I saw a lot of drive with this movement to get people recognized because of their success and their ability to excel. But there was no mention of people who are struggling. And when I say struggling I don't mean struggling to go further and beyond. I am talking about the [kind of] struggling where you’re in a spot that is far below par.  And in my case, I’m not really struggling, just failing instead. 

예를 들어, “드리머” 라던가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의 긍정적인 모습만 노출이 된다면 같은 상황에 있지만 개인적으로 더 힘든시간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본인의 모습이 초라하다 생각하게 되고 더 깊고 어두운 곳으로 들어 가게 됩니다. 현재 상황이 좋지 않은분들도 꿈이 있었고 미래가 있었던 사람들입니다. 현재 사회가 서류미비자들을 바라보는 시각은, 그들의 개인적인 성공과 또 그 성공을 이룩한 탁월한 능력에만 스포트라이트가 비춰 지고 있습니다. 정말 힘든 삶을 살고 있고 사회가 정의한 “성공”을 이룩하지 못한 서류미비자들에 대한 이야기는 찾아보기가 힘든 현실입니다. 제가 말하는 “성공을 이루지 못한 서류미비자”들이라 함은 단순히 사회의 기대치를 뛰어넘지 못한 분들이 아니라 그 기대치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힘든 삶을 살고 있는 분들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 사연은 힘든 삶을 살고 있다기 보다는 그냥 여러번의 실패를 겪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And since my story contained so many failures, I felt like I couldn’t bring up my story there among the Dreamers; it wouldn’t fit. There are numbers that tell us how much Dreamers are contributing to this economy. How many immigrants are working and making this much, so on and so forth. These statistics do not include people who are not contributing or can’t contribute yet. It’s a very obvious point but, because of that, from my perspective we don’t count as people in their numbers and in their narrative. 

저는 제자신을 되돌아봤을 때 너무 많은 실패를 경험했었고 이러한 이유로 다른 “드리머”의 이야기 속에 제 이야기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드리머”들이 미국경제에 얼마나 크게 기여하는지, 또 나아가 이민자들의 경제적 기여가 얼마나 중요한지 등에 대한 수치를 들으면서 경제에 기여하지 않고 있는 또는 못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우리 주위에 만연한 “드리머”들을 바라보는 시각는 ‘저와 같은 사람은 포함시키고 있지 않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To me, Citizenship4All would mean one less unjustified wall. We shouldn't have to feel like we have to prove ourselves, to earn citizenship and rights. Many people, including myself, will be able to at least consider walking forward,  now that there's options and potential that come with citizenship. With Citizenship4All, I want people to understand that it's okay to not be okay, that they do not have to be the ideal to deserve these things. And moving forward, I hope people try to keep themselves more open to the circumstances of other people, to try not to assume that just because you have succeeded in one way that another person can also succeed in that same exact way, even if they are given the same resources.  And especially for anyone younger who ends up reading this, I hope that you can understand it is okay to look for help.

저에게 있어서 “Citizenship4All”은 저를 가로막고 있던 정당하지 못한 벽들 중에 하나가 허물어짐을 뜻합니다. 저는 서류미비자들이 우리에게도 시민적 권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특정한 행위를 통해 증명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이런 캠페인을 통해 그리고 현재 펼쳐진 정치적 상황을 통해 인간적 삶을 위해 한발 내딛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다고 생각합니다. C4ALL 캠페인을 통해서, 핑크빛이 아닌 이민자의 삶도 지극히 정상이고 괜찮다는 것을 이해하고, 성공한 이민자의 삶만이 시민권을 받을 수 있는 자격조건이 아닌, 같은 인간이기 때문에 주어져야 하는 권리라는 점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많은 분들이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상황이 다름을 온전히 이해하고, 내가 성공적인 삶을 살았기 때문에 단순히 주어진 상황이 같다면 모두가 똑같은 성공할수 이룩할수 있다는 생각을 조금은 내려 놓앗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이글을 읽는 젊은 친구들이 있다면 힘들때는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는일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라는 점도 이해했으면 좋겠습니다.

You are not weak for looking for help. You are stronger by looking for help, because that means you were able to acknowledge your struggle and are willing to take the necessary steps to move forward. Looking for help does not mean you’re giving in; if anything, you’re making more options for yourself.

도움을 요청한다고해서 우리가 약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도움을 요청한다는 것은 우리자신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발전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뜻이고 그건 우리가 도움을 요청 함으로써 더 강해진다는 의미입니다. 도움을 받는 것은 포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에게 더 많은 가능성을 여는 일입니다.


Want to help fight for people like Chan? Join our campaign! In addition to sharing stories, we are calling Congress EVERY DAY and hosting a daily vigil at the White House for the first 100 days of Biden’s presidency to demand citizenship for all undocumented immigrants!